Jay jayonthegreen@gmail.com
  • 부엔 까미노!

    2025·06산티아고 순례길의 인사

  • 추상과 구상

    2025·06이연재, 『에디토리얼 라이팅』을 읽고

  • P 에서 J 로

    2025·06산티아고 순례길의 출발지로

  • 정체성 과잉

    2025·06산티아고 순례길을 떠나며

  • 걱정이 짐이 될 때

    2025·06산티아고 순례길 짐을 싸며

  • OKR의 핵심 결과

    2025·06존 도어, 『OKR』을 읽고

  • 담백한 좋은 어른

    2025·05조수용, 『일의 감각』을 읽고

  • 사랑의 태도

    2025·05에리히 프롬 , 『사랑의 기술』을 읽고

  • 욕구를 다루는 위험한 욕구

    2025·05아니 애르노, 『탐닉』을 읽고

  • 카이사르는 죽는다

    2025·05레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고

  • 안부 전화

    2025·04한병철, 『서사의 위기』를 읽고

  • 노동과 영혼

    2025·04한승태, 『어떤 동사의 멸종』을 읽고

  • 레드팀

    2025·03베르그송, 『웃음』을 읽고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5·02레비나스, 『시간과 타자』를 읽고

  • 여정과 열정

    2025·02랜디 코미사, 『승려와 수수께끼』를 읽고

  • 너 T야?

    2025·02마르틴부버, 『나와 너』를 읽고

  • 테니스 입문기

    2025·025년 후 어떻게 테니스를 치고 있을까?

  • 파스타 탐험

    2025·01가끔 파스타를 만들어 먹어요.

  • 돌보는 태도에 대하여

    2025·01박정수, 『좋은 기분』을 읽고

  • 면접이라는 틀

    2024·12김형석, 『면접의 질문들』을 읽고

  • 질문과 해석

    2024·12David Travis and Philip Hodgson, 『Think like a ux researcher』를 읽고

  • 사고

    2024·12스마일라식을 하고 나서

  • 사랑에 대한 생각

    2024·12알랭 드 보통,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읽고

  • 위임과 디테일

    2024·12founder mode에 대해서

  • CEO 체크 리스트

    2024·12Matt Mochary, 『The Great CEO Within』를 읽고

  • 발산과 수렴

    2024·11발산은 쓸모 없는 것일까

  • 혐오에 대한 솔직함

    2024·11윌리엄 해즐릿,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를 읽고

  • 겨울은 향으로 온다

    2024·10김겨울, 『겨울의 언어』를 읽고

  • 떠나고, 남겨진다

    2024·10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의 숲』을 읽고

  • 테니스 전술 입문

    2024·10호리우치 쇼이치, 『테니스 전술 교과서』를 읽고

  • 불평등에 대한 잘못된 시각

    2024·09최병천, 『좋은 불평등』을 읽고

  • 현명한 투자자

    2024·09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를 읽고

  • 채권

    2024·09채권에 대한 정리

  • 행복과 생각

    2024·09조세프 응우옌,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을 믿지 말라』를 읽고

  • 잠은 중요하다

    2024·08매슈 워커,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를 읽고

  • 인간의 정체성은 만들 수 있다

    2024·08그레고리 번스, 『나라는 착각』을 읽고

  • 미술관 가는 사람

    2024·08요한 이데마, 『미술관 100% 활용법』을 읽고

  • 매력적인 인생

    2024·08이슬아, 『끝내주는 인생』 을 읽고

  • 동그라미 세모 네모

    2024·08채사장, 『우리는 언젠가 만난다』를 읽고

  • 쓸쓸한 여름

    2024·05김애란, 『바깥은 여름』을 읽고

  • 정치적 목적의 글쓰기

    2024·05조지 오웰, 『나는 왜 쓰는가』를 읽고

  • 취미는 취향을 만든다

    2024·05방구석, 『취미가 우리를 구해줄 거야』를 읽고

  • 심연과 침묵

    2024·03하인리히 뷜, 『천사는 침묵했다』 를 읽고

  • 저녁

    2024·02욘 표세, 『아침 그리고 저녁』 을 읽고

  • 생존수영

    2024·01김도영, 『기획자의 독서』를 읽고

  • 근면함과 자본주의

    2024·01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를 읽고

  • 존재하지 않을, 영원한 이야기

    2023·12룰루 밀러,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를 읽고

  • 근심 없는 상태

    2023·12존 셀라스, 『에피쿠로스의 네 가지 처방』 을 읽고

  • 기후 재앙

    2023·09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을 읽고

  • 둔감한 쾌락과 민감한 고통

    2023·07애나 렘키, 『도파미네이션』을 읽고

  • 하고 싶은 일

    2023·07야기 젬페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하고 싶은 일 찾는 법』을 읽고

  • 혈당 스파이크

    2023·07제시 인차우스페, 『글루코스 혁명』

  • 경청

    2023·07마크 고울스톤, 『뱀에 뇌에 말을 걸지 마라』를 읽고

  • 주인공 행세

    2023·05라이언 홀리데이, 『에고라는 적』을 읽고

  • 의지력은 길러진다

    2023·05찰스 두히그, 『습관의 힘』을 읽고

  • 아마추어

    2023·02데이비드 엡스타인, 『늦깍이 천재들의 비밀』을 읽고

  • 오랜만에 다시 회계

    2023·02하야시 아츠무, 『회계학 콘서트 1 수익과 비용』을 읽고

  • 내가 원하는 삶은 비싸다

    2023·01너나위, 『월급쟁이 부자들』을 읽고

  • 불안에서 오는 MBTI

    2023·01이코노미조선 475호

  • 채찍질

    2023·01레이달리오, 『원칙』을 읽고

  • 느끼고 집중하자

    2022·12티머시 갤웨이, 『테니스 이너 게임』을 읽고

  • 유난한 도전

    2022·12정경화, 『유난한 도전』를 읽고

  • 글과 생각

    2022·12숀 케 아렌스, 『제텔카스텐』을 읽고

  • 의심과 독단

    2022·11리처드 파인만, 『발견하는 즐거움』을 읽고

  • 원칙은 성공을 보장하지 않지만

    2022·11김성일, 『마법의 돈 굴리기』를 읽고

  • 배움

    2022·11스콧 영, 『울트라러닝』을 읽고

  • 현실은 맵다

    2022·10벤 호로위츠, 『하드씽』을 읽고 나서

  • 프리토타이핑

    2022·10데이비드 블랜드 & 알렉스 오스터왈더,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을 읽고

  • 주관식을 객관식으로

    2022·10박지웅, 『이기는 게임을 하라』를 읽고

  • 먹먹해질 때

    2022·10존 윌리엄스, 『스토너』를 읽고 나서

  • 고생

    2022·06이기문, 『크레프톤 웨이』를 읽고

  • 5년 만에 다시 읽은 책

    2022·01보도 섀퍼, 『돈』을 읽고

  • 불평등과 그 대안

    2022·01에릭 포즈너 & 글렌 와일, 『래디컬마켓』을 읽고

  • 해적은 시스템이다

    2021·12피터 T. 리슨, 『후크 선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읽고

  • 행복을 만드는 것

    2021·10토니 셰이, 『딜리버링 해피니스』를 읽고

  • 예외처리

    2021·09만능 제어흐름용 가짜 예외 패턴

  • 매니지먼트

    2021·09앤드루 S. 그로브, 『하이 아웃풋 매니지먼트』

  • 가격은 오르고 내린다

    2021·09피터린치,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 칼로리만 답이 아니다

    2021·08앤드루 젠킨슨, 『식욕의 과학』 을 읽고

  • 새로 고침

    2021·08사티아 나델라, 『히트 리프레쉬』를 읽고

  • 공간의 의미

    2021·08유현준, 『공간의 미래』를 읽고

  • 누구나 세일즈맨이 된다

    2021·08제프 콕스, 『마케팅 천재가 된 맥스』를 읽고

  • 내 이야기 말고

    2021·06이석원, 『보통의 존재』를 읽고

  • 정리는 선택이다

    2021·05대니얼 레비틴 "정리하는 뇌"

  • 고통과 무료함

    2021·04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인생론』을 읽고

  • 베조스의 글

    2021·03제프 베조스, 『발명과 방황』을 읽고

  • 진정성과 배려

    2021·02아빈저연구소 , 『상자 밖에 있는 사람』을 읽고

  • 속초에서 아이슬란드를 읽다

    2021·02강은경, 『아이슬란드가 아니었다면』를 읽고

  • 담담해지길

    2021·02에크하르트 톨레,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를 읽고

  • 호수를 빙 둘러 헤엄치는 일

    2020·11줌파 라히리,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를 읽고

  • 팀장이 된다

    2020·11줄리 주오, 『팀장의 탄생』을 읽고

  • 휴머니즘

    2020·10캔 리우, 『달을 향하여』를 읽고

  • 성공한 사람들의 통찰과 루틴

    2020·08팀 페리스, 『타이탄의 도구들』을 읽고

  • 사업의 순간은 없다

    2020·07마크 랜돌프, 『절대 성공하지 못할 거야』를 읽고

  • 철학은 삶의 무기가 된다

    2020·07야마구치 슈,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고

  • 우울함을 대처하는 흔한 방법

    2020·06앨릭스 코브, 『우울할 땐 뇌과학』을 읽고

  • 금융 입문책

    2020·05이종태, 『금융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를 읽고

  • 생각과 인내

    2020·05헤르만 헤세, 『싯다르타』를 읽고

  • 꾸며진 것

    2020·03안희진, 『장자 인문학』을 읽고

  • 생각하기

    2020·03김병완, 『초서 독서법』을 읽고

  • 헌신할 수 있는 만큼

    2020·02제현주,금정연, 『일상기술연구소』를 읽고

  • 어디서 살 것인가?

    2020·01유현준, 『어디서 살 것인가』를 읽고

  • 2019년 운동

    2020·01걷기와 뛰기 그리고 클라이밍

  • 위기! 선택! 변화!

    2020·01재레드 다이아몬드, 『대변동』을 읽고

  • 회사생활 이야기

    2019·12신시아 샤피로, 『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50가지 비밀』 을 읽고

  • 합리화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다

    2019·11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안티프래질』을 읽고 나서

  • 아마존 문화 살펴보기

    2019·11박정준,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를 읽고

  • 꾸준함

    2019·10하루키 무라카미,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읽고

  • 여행의 환상

    2019·09김영하, 『여행의 이유』를 읽고

  • 결론부터 말해라

    2019·09송숙희, 『150년 하버드 글쓰기 비법』을 읽고

  • 생각 만큼 일은 되지 않는다

    2019·09"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가는 까닭은"을 읽고나서

  • 골드러시, 전기, 웹

    2019·08제프 베조스, 다가오는 웹 이노베이션에 대하여 2003

  • 1만보 걷기

    2019·07하정우, 『걷는 사람 하정우』를 읽고

  • 1만보 걷기를 시작했다

    2019·07하정우, 『걷는 사람 하정우』를 읽고

  • 서평쓰는 법

    2019·06이원석, 『서평 쓰는 법』을 읽고

  • 촌지의 기만

    2019·06박완서, 『세모』를 읽고

  • 우리는 지망생

    2019·06김보라,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을 읽고

  • 중요한 건 공동의 목표

    2019·05"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가는 까닭은"을 읽다 말고

  • 복잡함과 불편함으로

    2019·05채사장, 『열한 계단』을 읽고

  • 문장 다듬기

    2019·05김정선,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를 읽고

  • 인간다움과 폭력

    2019·05한강, 『채식주의자』를 읽고

  • 플렛폼이란 환상

    2019·05플랫폼 레볼루션, 스터디파이 플랫폼 비지니스 스터디

  • 알몸과 누드

    2019·04류대성, 『사적인 글쓰기』를 읽고

  • 생각에 관한 생각

    2019·03로버트 루트번스타인 & 미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을 읽고 나서

  • 편향과 싸우기

    2019·03다니엘 카너먼, 『스마트한 생각들』을 읽고 나서

  • 그런 아키텍쳐로 괜찮은가?

    2019·03일관된 아름다움은 있다

  • 피카소와 프로그래머

    2019·02단순함과 설득

  •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2019·01김창준, 『함께 자라기』를 읽고

  • 기업 문화는 사치인가

    2018·11세스 고딘, 『부족 리더십』을 읽고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요약

    2018·11

  • Clustering

    2018·10The basic of clustering algorithms

  • Courage

    2018·09Spencer Johnson, 『Who Moved My Cheese?』

  • 디비는 왜 빠를까

    2018·09마쯔노부 요시노리, 『데이터베이스를 지탱하는 기술』을 읽고

  •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2018·09하노 벡, 우르반 바허, 마르코 헤르만, 『인플레이션』을 읽고

  • 테스트 먼저 작성하는 건 어색했다

    2018·09켄트 벡, 『테스트 주도 개발』을 읽고

  • 대체하려면 꽤나 어렵다

    2018·08고란,이용재, 『넥스트 머니』를 읽고

  • 내가 선택한 세계

    2018·08최형욱, 『버닝맨, 혁신을 실험하다』를 읽고

  • 넷플릭스?

    2018·07문성길, 『넷플릭스하다』

  • 전문가 정신

    2018·07로버트 C. 마틴, 『클린 코드』를 읽고

  • 명료한 원칙 실행

    2018·07샘 월튼, 『불황 없는 소비를 창조하라』를 읽고

  • 생각한 만큼의 글쓰기

    2018·07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를 읽고

  • 변명 금지

    2018·06기시미 이치로 & 고가 후미타케, 『미움받을 용기』를 읽고

  • 해왔던 것을 그대로 하는 것

    2018·06클레이튼 크리스텐슨, 『혁신 기업의 딜레마』를 읽고

  • 황혼에서 느낀 지난 날

    2018·05가즈오 이시구로, 『남아 있는 나날』을 읽고

  • 팀

    2018·05짐 콜린스,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build to last)』을 읽고

  •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

    2018·04짐 콜린스,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를 읽고

  • 평가 없는 마케팅은 낭비일까?

    2018·04마크 제프리, 『마케팅 평가 바이블』을 읽고

  • 목표

    2018·03엘리 골드렛 & 피터 드러커, 『더 골(The Goal)』 을 읽고

  • 의심

    2018·03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블랙스완』을 읽고

  • 소프트웨어 환상과 미신

    2018·02프레더릭 브룩스, 『맨먼스 미신』을 읽고

  • 소프트웨어의 미신

    2018·02프레더릭 브룩스, 『맨먼스 미신』을 읽고

  • 간결함

    2018·02조셉 맥코맥, 『브리프, 간결한 소통의 기술』을 읽고

  • 가볍게 니체

    2018·01사이토 다카시, 『곁에 두고 읽는 니체』를 읽고

  • 삶에 대한 열의

    2018·01사이토 다카시, 『곁에 두고 읽는 니체』를 읽고

  • 계급 투쟁

    2018·01마르크스, 『공산당 선언』을 읽고

  • 인간은 기계가 아니다

    2017·12존 러스킨, 『나중에 온 이사람에게도』를 읽고

  • 연기하기 가장 어려운 것

    2017·12김영하, 『보다』를 읽고

  • 빵과 빵공장

    2017·12채사장,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읽고

  • 집념

    2017·11브래드 스톤, 『아마존, 세상의 모든 것을 팝니다』

  • 허영심이 난해한 글을 만든다

    2017·10유시민,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을 읽고

  • 강박도 없는 고립감

    2017·10알베르 카뮈, 『이방인』을 읽고

  • 가치 제안

    2017·10마스다무네아키, 『지적 자본론』 을 읽고

  • 기능이 아닌 가치를

    2017·10마스다무네아키, 『지적 자본론』 을 읽고

  • 잠깐만요, 뭐라고요?

    2017·09제임스 라이언, 『하버드 마지막 강의』 를 읽고

  • 투기가 아닌 투자

    2017·08최준철 , 김민국, 『한국형 가치 투자 전략』를 읽고

  • 선택편향, 내생성, 베이즈의 정리

    2017·08유리 브람, 『통계적으로 생각하기』를 읽고

  • 구글의 문화란 무엇인가?

    2017·07에릭 슈미트 , 조너선 로젠버그 , 앨런 이글,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 를 읽고

  • 계속 가는 거다

    2017·06필 나이트, 『슈독』 을 읽고

  • 정신 차리자

    2017·04보도 섀퍼, 『돈』을 읽고

  • 현상이 아닌 원인을 찾아라

    2016·11서재근, 『생각하는 늑대 타스케』를 읽고

  • 구김살

    2016·10J.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 균형

    2016·07폴 그레이엄, 『해커와 화가』를 읽고

  • 힙스터 경제학자

    2016·06장하준, 『경제학 강의』를 읽고

  • 오픈소스, 그냥 재미로

    2016·05리눅스 그냥 재미로를 읽고나서리누즈 토발즈, 『리눅스 그냥 재미로』

  • 맹신

    2016·05영화 contact 를 보고

  • 저를 위한 겁니다

    2016·05영화 타인의 삶을 보고

  • 불완전한 말을 하며 말을 배운다

    2016·05C.P. 스노우, 『두 문화』를 읽고

  • 과학으로서 진화심리학

    2016·04전중환, 『오래된 연장통』을 읽고

  • 패러다임은 깨진다

    2016·04토마스 쿤 ,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

  • 판타지 없는 현실은 없다

    2015·04영화 Big fish 를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