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 가는 사람

2024.08.09
요한 이데마, 『미술관 100% 활용법』을 읽고

“오늘 뭐하셨어요?” “아, 저 오늘 미술관 다녀왔어요.”

갑자기 친구가 이태원에서 만나자 했다. 친구의 친구들이 모인 자리였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 “오늘 뭐하고 지내셨어요?“라는 질문이 오갔다. 나는 미술관에 다녀왔다고 말했다. 왠지 모르게 어색했다. “아, 혼자 전시를 자주 보는 문화인은 아니고… 오늘 마침 충동적으로.." 낯간지러웠다. 뭔가 내가 아닌 사람인 흉내를 내는 느낌이랄까.

작년에 샌프란시스코 여행을 갔다. 마지막 날 여행을 같이간 친구를 설득해 MoMA에 갔다. 솔직히 작품을 보며 “와, 대단하다!“라는 즉각적인 감동은 없었다. 나는 그저 무의미하고 모호한 느낌을 즐기러 전시회에 갔다. 유명한 해외 미술관을 가보는 그 경험도 이색적이었다.

미술관은 언제나 나에게 모호한 곳이자 현실에서 잠시 벗어난 느낌을 주는 곳이다. 그러나 나는 모호함을 넘어 미술관을 더 깊이, 선명하게 받아드리고 싶었다. 그림에 감동을 더 느끼고 싶었다. 이 책을 읽은 이유다.

하지만 책에서 이야기하는 미술관도 나에게는 아리송하다. 책에서 말한 "경비원에게 미술관과 작품에 대해 말을 걸어보라"는 조언은 나에게 비현실적으로 들렸다. 그나마 공감이 갔던 부분은 미술관이 얼마나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야 하는지, 화가가 작품의 제목을 "무제"로 둘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었다. 미술은 여전히 텍스트보다 한층 더 모호하고 빈 느낌이다.

내 삶을 살며 수십번의 미술관을 가게 될 것이다. 미술관을 조금씩 더 재미있게 즐길 수는 없을까? 그 답을 조금은 찾고 싶다.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