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김살
2016.10.23
J.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J.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너는 사람을 믿지 않고 분석하며 생각이 많아.”
이런 류의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인정한다. 무결하고 싶은 마음에 냉소를 던졌다. 그 냉소는 스스로를 향해 채찍질했다. 스스로 얽매였다. 결국엔 나는 모순에 빠지고 나만의 성에 갖혔다. 하지만 난 여전히 냉소를 던지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이런 나에게 호밀밭의 파수꾼은 큰 여운을 줬다.
주인공인 홀든 콜필드는 순수한 아이들 외에는 모든 것을 싫어한다. 낙제한 홀든이 학교를 떠나는 3일간의 여정이 책에 그려저 있다. 홀든은 주위에서 보는 위선자들을 자주 골라냄으로써 정직하지 못한 것과 가식을 경멸한다. 이러한 콜필드의 반항기가 미국 전역을 뒤덮어 "콜필드 신드롬"이라고 불렸다. 많은 예술가들이 호밀밭의 파수꾼을 노래했다.
홀든은 읽는 사람이 짜증날 정도로 홀든은 혐오감정을 표출한다. 홀든은 이러한 혐오를 통해 자신과 세상을 분리한다. 그리고 하나의 기준을 세운다. 그러나 스스로 세운 기준에서 모순을 겪게 된다.
인간모순에 대한 끊임없는 고뇌에 대해 공감했다. 누구나 콜필드가 된다. 책을 읽어가며 나는 할 말을 잃어버렸다. 생각 자체를 멈추고 싶었다. 미칠듯이 미워하고 방황하면서 하나의 전환점을 맞는 홀든의 이야기를 보며, 나 또한 불편한 감정을 외면하기보다는 붙잡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