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시절 '양적 완화'를 알게 되었다. 당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버냉키 의장의 양적 완화 축소가 큰 이슈였다. 양적 완화란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해서 시중에 돈의 유통량을 늘리는 행위다. 나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화폐가 닳아서 폐기되거나 실물 가치를 창출하는 만큼만 화폐를 찍어내는 줄 알았기 때문이다. 나는 경제활동의 절대적인 가치인줄 알았던 화폐 가치가 상대적이라는 것이 놀라웠다. 그리고 화폐가 계속해서 팽창함에 따라 실질적인 화폐의 구매력이 하락한다는 것을 알고는 도둑맞는 느낌까지 들었었다.
이 책은 돈의 탕생과 함께 시작된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다룬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인플레이션의 역사는 다음 10가지 명제로 정리된다.
돈은 그 자체로 신뢰다. 돈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화폐가 무너진다. 돈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지 않도록 남용을 막는 것이 정치의 우선적 의무다.
화폐가 붕괴하기 시작하는 초창기에는 국가나 통치자가 과도한 채무에 시달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과도한 채무가 생기면 국가나 통치자는 인플레이션을 이용해 자신의 의무를 회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유혹은 언제나 존재한다. 인플레이션은 결코 사라질 수 없다고 예상하는 이유다. 돈과 통치자가 존재하는 한, 인플레이션은 사라질 수 없다.
인플레이션은 거대한 면도칼 위를 달리는 상황에 비유할 수 있다. 대개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경기를 활성화시킬 뿐이다. 소위 초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너무 낮아도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경제는 황폐해진다. 이것이 화폐 시스템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되는 이유다.
20세기 이후 극심한 인플레이션은 초 인플레이션이었고, 대게 초 인플레이션은 정치적 격동기에 발생했다. 일종의 정치적 인플레이션인 셈이었다.
경제학파들도 인플레이션에 대해 서로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다. 경제학파 내에서도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옹호하는 케인즈 학파와 자유시장경제 원칙을 고수하는 고전학파로 나뉜다. 케인즈학파는 인플레이션이 생산력을 방출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고전학파는 돈은 실제 경제활동에 아무런 영향력을 끼치지 못한다고 본다.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상관관계는 장기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었고, 물가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었을지만 모르지만 말이다.
2000년부터 금융위기 발생과 통화 대량 투입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통화량 급증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지만, 다음 위기를 예고한 신호탄과 다름없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에만 반영되는 것이 아니다. 자산과 유가증권의 가격, 심지어는 금융자산에 이르기까지, 이 상승하는 자산 인플레이션도 동시에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의 최대 피해자는 결국 서민층, 빈곤층이다. 인플레이션은 부당하고 불공정한 세금과 동일한 효과를 지닌다.
지금까지 국가는 인플레이션을 조장해 부채를 없애려고 해 왔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의 종말이 예상된다는 주장은 타당성이 떨어진다.
위의 10가지 명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책에 잘 나와있다. 인플레이션 정책에 대한 배경과 효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있다. 반복되는 인플레이션으로부터의 경제적 위기가 많았다. 경제 위기와 호황의 반복에서 스스로 최선의 선택을 하길 희망해본다.